Artists

Home / Artists
RESIDENCY, NOW

RESIDENCY, NOW

2013 05.02 ~ 2013 06.06 ​ 한국에서 레지던시가 체계를 갖추고 시작된 시기는 이천 년대 초반이다. 그 후로 십여 년이 지났다. 운영진의 세대가 교체되고, 형식도 변모하였다. 유럽과 미국이 70년대에 다양한 작가들과 그들의 표현에 대한 민주적인 수용을 위해 레지던시를 활성화시켰다면, 그 시작이 늦은 건 사실이다. 그러나 초기 운영진들의 고민과 노력으로 십여 년만에 레지던시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는 것은 멋진 일이다. 레지던시는 어디나 마찬가지로 창작공간으로서 시작되었지만, 고유한 장점을 활용하여 매개공간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레지던시는 플랫폼이자 인큐베이터로서 작가를 지원하며, 미술계의 관계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짧은 시간이지만 미술계의 중요한 하나의 기관으로서 한국에 정착을 하고 활발하게 운영되면서 레지던시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었다. 이즈음에 한국의 레지던시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었고,...

FESTIVAL BO:M

FESTIVAL BO:M

dimensions variable/가변 크기이라는 용어는 가변 크기로 해석될 수 있다. 가변 크기는 특히 미술의 설치(installation), 장소 특정적(site specific) 작업에서 작업의 크기, 차원, 규모 등이 공간 등의 변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설치 가능하다는 뜻을 내포한다. 즉 작업을 구성하는 요소 등은 고정되어 있지만, 다른 상황을 마주했을 때 다른 방식으로 작업이 공간을 점유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설치 미술에서 쓰이는 이 용어가 흥미로운 것은, 이것을 개념적으로 접근해보자면, 단순한 설치 미술의 용어로써의 범주를 넘어서 퍼포머티브한 상황을 암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a, b, c라는 고정된 구성 요소가 a-b-c, b-a-c, c-b-a로 조합의 변주가 가능하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a-b-c에서 b-a-c를 거쳐 c-b-a로 변화하는 과정을 우리는 일정 시간(duration) 동안 모두 경험할 수는 없는 것일까? 미래의 가능성으로만 남아 있는 구성 요소의 또 다른 조합이 현재 시간에 재생될 수는 없는 것일까? 다시 말해서 dimensions variable/가변 크기가 퍼포먼스의 형식을 빌려 설치될 수는 없는 것일까? 이 작업은 이러한 질문들에서 출발한다.

Peep!

Peep!

2013 송원아트센터 신진작가 지원展 2013 03.07 ~ 2013 04.05 참여작가 ​주재환과 착한 작가들 Joo Jae Whan with good fellows (주재환_박준식_손민아_이대일_정기현_허태원_홍원석) ​뮌 Mioon_최성록 CHOI Sungrok_정지현 JUNG Jihyun ​방 & 리 Bang & Lee_김준 KIM Joon ​ 참여기관 ​경기창작센터_인천아트플랫폼_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 운영자 대담_작가와의 대화 ​2013_0601_토요일_02:00pm ​2013_0601_토요일_04:00pm ​ 주최 / 서울시립미술관_송원아트센터 ​주관 /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협찬 / 대안공간 루프 ​ 이 전시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에게는 ‘젊은’, ‘신진’ 등의 수식어가 붙는다. 그러한 수식어들이 지닌 어떤 강렬한 덩어리는 시대를 불문하고 어느 분야에서든 이목을 끌어왔다. 가치가 드러나지 않거나 적게 드러난 것일수록 그것이 발견될 수 있는 가능성은 더 높다. 그렇기에 새롭고 신선한 것에 대한 기대는 그들이 가져올 ‘더 나은 무언가’를...

점프하는 순간에 떠오른 세가지 생각

점프하는 순간에 떠오른 세가지 생각

2012 12.10 ~ 2012 12.15 ​ 참여작가 ​김예다_박성희_이승은_이소연_이수현이준원_이형주_장지나_전영우_최민경 기획 / 유진상  동굴=방 자신의 “동굴” 그 공간에서 만들어진 기억과 시간의 흐름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동굴을 나가는 순간 개인이 아닌 집단으로 바뀌는 형태가 된다. 그러면서 “동굴”안에서 기억의이야기와 “동굴”밖에서 기억의이야기는 같다고 생각하면서 시간의 흐름으로 인해 변질되어 파편적으로 깨지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이 작업은 나의 “동굴”에서 만들어진 기억의 몸짓 중 한 부분이다. 김예다_동굴_퍼포먼스, 설치_2010 시시한 플라스틱, 급해보이는 가벼운 오락거리, 시간 앞에서는 의미를 잃게 되는것들. 자신이 가족안에서 느낀 은연중의 불안감에서 시작되었다. 사람들 사이에서 쓸데없는 긴장을 만드는물건들을 내가 소비하고 수집하는 행위에서 갖고 놀 수 있는 상태로 재현시킨다. 사람들의 편집증적 소비는 물건들에 열광을하고 매혹적이게 놓여져있다. 그것들은 거의...

테크놀로지 사회의 기계미학

테크놀로지 사회의 기계미학

기계는 무엇을 구걸하는가?展 2012 11.16 ~ 2012 12.15 참여작가 ​김두진_노진아_박재영_신기운_아찌아오(Aaajiao)이장원_잭슨홍_트로이카(Troika) ​ ​후원 / 서울문화재단공동 주관 / 송원아트센터 ​기획 / 백곤(blog.naver.com/paikgon)전시보조 / 한지숙 테크놀로지 사회의 기계미학: 기계는 무엇을 구걸하는가? 새로운 종(species)이 탄생하면 언제나 기존에 있던 종들과 충돌이 일어나는 것이 자연의 이치이다. 18세기 중엽 인류의 역사에 혁신적인 종(species)이 탄생하였다. 바로 기계(Machine)가 그것이다. 기계는 태어나자마자 인간의 인식과 삶의 방향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19-20세기 초·중반 기계들의 대 전쟁(산업혁명과 세계대전)은 인간들로 하여금 점점 더 기계에 종속되고 맹신하게 만들었다. 이후 인류는 기계를 정복하기 위해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전시켰다. 기계들은 인간의 자리를 하나둘씩 차지하면서 자신의 활동범위를 폭발적으로 확장시켰고, 급기야 인간의 감각까지 대체하게 되었다. 그 결과 기계는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아시아 미술의 공공적 역할

아시아 미술의 공공적 역할

이진민 작가는 2004년부터 2011년까지 M 브랜드를 위한 Visual Promotion Art Directing 작업의 일환으로 Season 공간연출을 하였으며 4 Season Display는 M기업 본사공간의 Facade Show Window, Event Space, Special Space에 Art Installation적인 공간 조형을 표현하였다. 작가는 그러한 공간연출 작품사진들의 패브릭 프린팅과 실제 오브제들의 설치를 통하여 Fine Art와 Design이라는 영역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탈경계, 융복합화와 같은 장르간의 통섭(Conversence)을 보여주고자 한다. 특정 기업의 제한된 공간을 벗어나 Artcenter라는 문화공간에서 조형이 재창조되고 공개됨으로써 향후 조형문화 분야와 Living Style Design 분야에 있어 새로운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분열의 즐거움

분열의 즐거움

2012 01.27 ~ 2012 02.10 강지현_공통된 지점 Common point of two space_사진_2011 ​ 참여작가 ​강지현_김윤주_김지혜_안단비_안지현이보라_이순자_조민지_황재옥​ 기획 / 유진상 이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들은 모두 처음 데뷔하는 작가들로서, 주로 작품의 내용과 성향에 있어 ‘자아’ 혹은 ‘정체성’을 다루는 대신 그것의 ‘분열’ 혹은 ‘변형’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아마도 이러한 특징은 이제 막 예술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하는 20대 작가들에게서 두드러진 것일 수 있을 것이다.   ‘분열’은 ‘정신분열’을 의미한다. 들뢰즈는 「안티-외디푸스」에서 ‘정신분열’과 ‘편집증’을 비교 분석하면서 전자를 옹호하고 있다. 분열은 그에게 있어 삶의 적극적 표현이자 세계와 교감하는 방식이라고 받아들여졌던 것이다. 그러므로 분열은 정신병의 일부이면서, 동시에 삶의 일부이기도 하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젊은이들에게 강요되는 ‘정체성’의 신화는 심할 경우 ‘편집증’이나 ‘강박증’의 형태로 나타난다....

the Another Paradigm for Season

the Another Paradigm for Season

이진민 작가는 2004년부터 2011년까지 M 브랜드를 위한 Visual Promotion Art Directing 작업의 일환으로 Season 공간연출을 하였으며 4 Season Display는 M기업 본사공간의 Facade Show Window, Event Space, Special Space에 Art Installation적인 공간 조형을 표현하였다. 작가는 그러한 공간연출 작품사진들의 패브릭 프린팅과 실제 오브제들의 설치를 통하여 Fine Art와 Design이라는 영역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탈경계, 융복합화와 같은 장르간의 통섭(Conversence)을 보여주고자 한다. 특정 기업의 제한된 공간을 벗어나 Artcenter라는 문화공간에서 조형이 재창조되고 공개됨으로써 향후 조형문화 분야와 Living Style Design 분야에 있어 새로운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TRANSLOCATING 체의 변형

TRANSLOCATING 체의 변형

2011 미디어 아트展 2011 03.11 ~ 2011 03.23 참여작가 ​한국 / 젖은정원_오상미_문명기_이순모_도미노_이동훈 ​일본 / 박영효_Kei Shiratori_Shinobu Toma_Daichi Misawa_Kaori Takemoto_Leo Kikuchi 후원 / 송원문화재단_송원아트센터_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_Japan Foundation Translocating 한국과 일본을 포함하는 아시아 문화권의 상호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본 전시회의 타이틀 『Translocating』에는”move from one place to another”(어느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의 의미가 담겨 있다. 다양한 미디어의 발달은 막대한 양의 정보를 세계 곳곳에서부터 입수 가능하게 하였지만, 일방통행 형식의 정보 교환, 단순히 언어의 번역에 그치는 커뮤니케이션 이외에도 중요한 상호이해의 방법은 있다. 그것은 실제로 상대가 있는 곳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것, 그리고 함께 같은 문제/ 테마에 몰두하며 의논하는 것이다. 굉장히 단순한 것이지만, 같은 공간에서 서로의 감각을 공유하는 것으로 상호이해는 물론 그...

르페브르가의 극장 3년 II

르페브르가의 극장 3년 II

The theater of Boulevard Lefebvre, three years II 2011 10.13 ~ 2011 11.03 예기展 / Ieggi KIM / photography  예기_임마누엘 1_피그먼트 프린트_65.62×75cm_2011 르페브르가의 극장, 3년 ‘관음조증’에 관하여 1. 이 작업은 예기가 살던 파리 아파트 건너편, 20미터도 채 안되는 거리에 있는 이웃 건물들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찍은 사진 시리즈이다. 마주 보는 건물, 가까운 거리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찍는 것이기에 작가는 모르게끔 숨어서 작업을 했고, 따라서 사진에 담긴 인물들은 그녀의 존재를 모른다. “그러나 나는 그들을 알고 있다. 나는 커튼으로 가려진 창문 뒤로 그들을 몰래 관찰해 왔고, 여러 해 동안 보아왔기에 그들 대부분의 얼굴은 내게 익숙하다.” (작가 노트 중에서) 그녀는 3년 동안 관찰해온 앞쪽 건물을 『르페브르가의 극장』이라고...

Two Faces _

Two Faces

LEEDUEGYOUNG / 李得榮 / photography 2010_1028 > 2010_1219 이득영_Two Faces_가변설치_2010 도시를 보고 느끼는 시선은 벤야민의 ‘산보객’,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가’, 로버트 벤트리의 ‘속도광 운전자’, 인공위성 기반의 구글어스라는 정보과학 시선들로 발전했다. 이 모두는 ‘도시 경험’에 대한 다른 성격에도 불구하고 ‘도시경관의 관상학’이라는 관심을 공유했다. 빠르게 발전하는 현대 도시에서는 맨 몸으로 도시와 교감할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고 속도와 결합된 시선은, 우리에게 지금까지와는 다른 차원의 세계를 경험하게 한다. 이득영_Two Faces_가변설치_2010 이득영_Two Faces_가변설치_2010 이득영_Two Faces_가변설치_2010 우리가 살고 있는 서울이라는 도시는 빠른 시간에 압축 성장을 한 결과 독특한 시각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강변은 개발에 따른 다양한 요소들이 함께 모여 있는 곳이다. 장마 때 강이 범람하는 문제 때문에 개발...

neighbors[i] 당신 이웃은 안녕하십니까?

neighbors[i] 당신 이웃은 안녕하십니까?

Algorithmic Audio Visual Media Art Exhibition by Tacit Group 2010 10.09 ~ 2010 10.17 ‘이웃’은 나란히 또는 가까이 있어 경계가 붙어있는 상태 또는 그 대상을 가리킨다. neighbors[i]는 ‘이웃’이라는 단어에 내포돼 있는 ‘경계’와 ‘밀착’의 의미에 주목한다. ‘밀착’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람과 사회는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을 하며 변화하고, ‘경계’를 통해 자신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경쟁함으로써 자신과 이웃을 모두 변화시킨다. ‘이웃’이란, 결국, 쌍방향으로 경쟁하고 소통하고 작용하는 ‘관계’인 것이다. neighbors[i]는 이러한 ‘이웃’의 개념을 과학적 사고와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이용해 재해석한 알고리즘 아트 전시다. 제목에 등장하는 [i]는 알고리즘이나 수학공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i-2, i-1, i, i+1, i+2…와 같은 행렬을 의미한다. 즉, i가 변화함으로써...